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c++
- 템플릿
- Directx9
- 게임프로그래밍
- uniqueptr
- 가상기본클래스
- private상속
- fvf
- effectivec++.
- 부분복사
- 복사함수
- 도우미함수
- 정점버퍼
- EffectiveC++
- 해골책
- 암시적인터페이스
- RAII
- 제네릭프로그래밍
- rcsp
- operator=
- 암시적변환
- 이른진단
- 상수객체참조
- 멤버함수템플릿
- most vexing parse
- sharedptr
- 일반화복사생성자
- 교차dll문제
- 스택풀림
- contextswitching
- Today
- Total
성공할 게임개발자
[자료구조] RB트리 본문
set, map, multiset, multimap과 같은 자동 정렬 연관 컨테이너는 내부적으로 Red-Black Tree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한다.
RB 트리란?
이진 탐색 트리의 한 종류로 항상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든 자가 균형 이진 탐색 트리이다.
즉, 최악의 경우에도 탐색, 삽입, 삭제 시간이 O(log n)을 보장한다.
RB 트리의 핵심 속성
각 노드는 빨간색 또는 검은색으로 나누어진다.
그리고 5가지 규칙을 만족한다
1. 모든 노드는 빨강 또는 검정이다.
2. 루트노드는 항상 검정이다.
3. 모든 리프노드(NIL 포인터 : 암시적으로 존재하는 노드)는 검정이다
4. 빨간노드의 자식은 항상 검정이다(연속된 빨강노드 없음)
5. 루트에서 리프까지 가는 모든 경로의 검정 노드 수는 같다.
왜 RB 트리를 쓰는가?
이진 탐색트리의 단점
일반 BST는 삽입 순서에 따라 매우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O(n) 성능이 될 수도 있다.
RB트리의 장점
항상 균형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한다
삽입, 삭제, 탐색이 모두 O(log n) 시간 복잡도 보장된다.
자가 균형 조절을 위한 회전/색 변경이 있지만 비용은 제한적이며 예측가능하다.
특히 C++ STL 구현에서는 삽입 시 자동으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RB 트리가 이상적이다.
예시구조
10(B)
/ \
5(R) 15(R)
/ \ / \
NIL NIL NIL NIL
5가지 규칙을 만족한다.
또한,
10(B)
/ \
5(B) 15(B)
/ \ / \
NIL NIL NIL NIL
이것도 유효한 RB트리이다. 역시 5가지 규칙을 만족했다. 하지만 균형유지 목적으로 빨강을 섞은걸 더 많이 쓴다.
연관예시
삽입
새 노드는 항상 빨강으로 삽입
삽입 후 부모 색에 따라 회전 및 색 변경 수행 -> 이를 통해 균형을 유지
삭제
삭제 시 검정 노드를 제거하면 검정 균형 조건이 깨질 수 있으므로 case를 나눠 형제 노드의 색상에 따라 회전/색상 변경 등 복잡한 보정 수행
'자료구조&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iterator (0) | 2025.07.08 |
---|---|
[자료구조] 리스트 (1) | 2025.07.08 |
STL & 자료구조 (0) | 2025.07.07 |
[알고리즘] 2. 백트래킹 - 백준 2580 스도쿠, 1987 알파벳 (0) | 2025.03.18 |
[알고리즘] 1. MST(최소신장트리)-크루스칼 알고리즘 (0) | 2025.02.12 |